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간단한 용어사전

[비즈니스] 백로그 처리 기준 DEEP (What is DEEP in Product Backlog?)

유니 Uni 2023. 4. 20. 15:48
반응형

 

Disclaimer
간단한 용어사전은 업무 중 혹은 기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정확히 알아두기 위해 간단하게 기록하는 용도입니다.
굉장히 정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할 의도는 아님을 밝힙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지적 환영합니다 :)

"좋은 백로그는 DEEP 을 만족한다"라는 말을 듣고 개념을 정리해본다.

 

출처 : visual-paradigm (주소 하단 기재)

 

  • D (Detailed Appropriately) : 적절하게 상세한
    •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은 우선순위가 낮은 아이템보다 먼저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들이 나머지에 비해 더 상세하게 분석되어야 한다.
      • 백로그 맨 위에 있는 스토리는 작고 세분화 되어있다.
      • 백로그 하위에 있을 수록 아이템의 크기가 커지고 디테일이 떨어짐

  • E (Estimated) : 추정된
    • 제품 백로그는 계획 도구이며 개발 리소스를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 각 아이템에는 완료하는데 걸리는 예상 추정치가 필요하다.
      • 각 아이템에 해당하는 일의 양 (effort)과 기술적인 위험성 (technical risk)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해야 한다.
    • 제품 백로그의 항목은 추정치이다.
      • 백로그의 맨 위에 있는 항목이 더 정확한 추정치를 가진다. (우선순위 높은 항목)
      • 매 스프린트마다 학습한 내용(learning)이 있고 새로운 정보가 생기므로 다시 추정되어야 한다.


  • E (Emergent) : 계속 갱신되는
    • 제품 백로그는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한다.
    •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학습한 내용과 정보를 얻기 때문에, 백로그에도 추가/제거/재배치 되어야 한다.


  • P (Prioritized) : 우선순위가 매겨진 
    • 제품 백로그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일수록 가치가 높다.
    • 우선순위가 낮을수록 가치가 낮다.
      •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완료하여 개발 중인 제품의 가치를 극대화해야 한다.

 

 

 

 

참고문헌

https://www.visual-paradigm.com/scrum/what-is-deep-in-agile-product-backlog/

https://scrumprimer.org/primers/kr_scrumprimer20.pdf

https://airfocus.com/glossary/what-is-a-deep-backlo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