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이번에 이직한 회사에서 GA를 쓰게 되었다. 원래는 redash같은 SQL을 작성하는 BI 툴을 사용하곤 했었는데...
그래서 GA를 쓰더라도 그보다는 정확도가 높고 (나에게는 사용하기 더 편리한..) 다른 대시보드에서 정보를 얻었어서
GA를 쓸 줄 모른다! 그래서 GA를 급하게 배워보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는 내가 그동안 가지고 있던 GA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그리고 여기서 이야기하는 GA는 GA4가 기준이다.
그래서 GA4에서 업데이트 되는 것은 :
- 웹사이트와 앱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여 고객 여정을 더욱 자세히 파악
- 세션 기반 데이터 대신 이벤트 사용
- 쿠키 없는 측정, 행동 및 전환 모델링과 같은 개인 정보 보호 설정 포함
- 예측 기능으로 복잡한 모델이 없는 가이드 제공
- 미디어 플랫폼에 직접 통합하여 더 편리하게 작업
https://dachata.com/google-analytics-4/post/what-is-google-analytics-4/
[Google Analytics 4] 구글 애널리틱스 4란?
구글 애널리틱스 4(Google Analytics 4)를 사용하면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에서 발생하는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4는 2020년 10월 15일에 출시된 속성으로
dachata.com
그리고 이곳에서 매우 자세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기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은 2023년에 중단된다고 한다.
이제는 모두 GA4를 사용해야하는 듯?
그리고 우리 회사는 앱과 웹을 모두 제공하기 때문에 아래 경우에 해당한다.
앱 및 웹 데이터를 모두 수집하는 경우
Google 애널리틱스 서비스 SDK를 통해 앱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Firebase SDK를 사용하도록 앱을 업그레이드한 다음 위의 안내에 따라 Firebase용 Google 애널리틱스 속성을 Google 애널리틱스 4로 업그레이드합니다.
해당 Firebase용 Google 애널리틱스 속성에서 웹 데이터도 수집한 경우 Firebase 프로젝트에 연결된 동일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에서 웹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세요.
하지만 Firebase console과 google analytics for firebase console이 있는데 둘이 뭔 차이인지는 잘 모르겠다ㅠ
이거는 나중에 좀 더 알아가보도록 하자..
Q. 구글애널리틱스(GA)는 파이어베이스와 뭐가 다른가?
- GA의 경우에는 웹에 최적화되어 있다. 하지만 Firebase의 경우 보다 모바일에 최적화되어있는 툴이다.
- 때문에 측정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생긴다. GA는 screen view 및 세션 지향 보고서가 많다. 하지만 Firebase에서는 모든 보고서가 사용자 중심 또는 이벤트 중심이다.
- 그런데 GA4를 도입하면서 APP과 WEB을 하나의 속성에서 처리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가 되었다. (앱 트렌드를 보완한듯)
Q. 많은 회사들은 구글애널리틱스(GA)를 쓰더라도 추가로 다른 데이터 툴을 활용하는데 왜일까? (GA의 한계?)
- GA는 정확하지 않다. 내가 전 회사에서 GA를 사용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였다. 내부에서 가지고 있던 데이터플랫폼에 적재되는 데이터와 GA가 항상 차이가 나는 바람에.. 결국 일관성 있게 보려면 내부 데이터만 보는 식으로 데이터를 파악했던 것 같다. 뭐 이 말은 내부데이터 플랫폼 없이 GA만 본다면 또 일관적인 추세를 알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 또한 데이터를 보는 것에 있어서 자유도가 낮다. SQL을 어느정도 알고 있고 직접 대시보드를 만들어서 사용했기 때문에 GA가 제공하는 형태에 맞추어 데이터를 보는 것이 나에게는 사용성 면에서 안 좋았다.
- GA는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처리한다. GA4가 되면서 어느정도는 샘플링하지 않은 보고서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어떻게 샘플링이 되는지는 아래 고객센터 안내를 참고하시기를 바란다.
데이터 샘플링 안내 - 애널리틱스 고객센터
데이터 분석에서 샘플링은 더 큰 데이터 세트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기 위해 모든 데이터의 일부 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나무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100에이커 면적 임야
support.google.com
이제 다음글부터는 구글애널리틱스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떤 정보를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회사 돈으로 책도 샀는데~ 책이 아직 오지 않아서 잘 파악을 하지 못하겠다. 흑흑 그냥 쿼리하고 싶음
이번 글엔 내용이 없군...
참고문헌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bwoghks90&logNo=221026305926
- https://m.blog.naver.com/imsoimpressed/221598762393-
- https://htaegy.tistory.com/21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 > 데이터 공부를 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개발자SQL] SQLD 자격증 합격 후기 (비추천합니다 / ChatGPT 활용) (1) | 2023.04.07 |
---|---|
[비개발자SQL] SQL로 하는 데이터 분석 (feat.코드잇 수강후기) (0) | 2022.08.08 |
[비개발자SQL] 효율적인 쿼리 짜기 : SARGable Query란? ( non-sargable query, SQL)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