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좋은 글 아카이브는 트렌드 파악 / 업무와 관련된 공부를 위하여 다양한 매체로부터 얻은 정보를 출처 링크와 함께 가볍게 정리하는 글입니다.
저자의 생각과 저의 생각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며, 저에게 필요한 내용만 체리피킹합니다.
요약 혹은 의견을 선택적으로 덧붙입니다. 보는 이의 가독성을 고려하는 글은 아닙니다.
1. [번역] 시니어 PM과 주니어 PM의 생각은 달라야 한다
https://medium.com/@m.na_88906/senior-product-manager-6ecd9ed58cfa
[번역] 시니어 PM과 주니어 PM의 생각은 달라야 한다
크롬 히스토리 탐색 프로덕트 Peeky의 MVP가 막 출시되었습니다. 사용자 피드백과 버그 픽스에 온 신경이 집중되어 있다가, 순간 ‘내가 PM으로서 잘 하고 있나?’ 를 한 발짝 떨어져 볼 타이밍이라
medium.com
- 더 뛰어난 PM으로 사고하는 방법
(시니어는 진급의 문제가 아님 - 직급에 관계없이 누구나 시니어 관점으로 사고할 수 있다) ← 사실 여기가 젤 인상깊음- 풀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일까? 를 판단
- 임팩트 정량화 하기
- 진짜 비용 계산하기
- 타이밍
- 전략적으로 기회 영역 찾기
- JTBD (Jobs to be done)
- 사용자가 떠나는 이유 (push 요인, pull 요인)
- 예상되는 리스크 찾기
- 풀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일까? 를 판단
2. [UXUI] 네이버 메인 리뉴얼
https://brunch.co.kr/@daisyuxui/40
[UXUI] 네이버 메인 리뉴얼
무엇이 바뀌었을까 |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가 2023년 5월 17일 오후 5시를 기점으로 PC리뉴얼을 진행했다. 네카라쿠배의 네를 차지하는 네이버의 디자인. 과연 무엇이 바뀌었을까? 네이
brunch.co.kr
https://campaign.naver.com/naverdetails/newpc/
네이버 PC 메인
이렇게 새로워집니다!
campaign.naver.com
- 예전 웹을 볼 수 있는 internet archive wayback machine이 재미있음
- 이번 개편에서 개인적으로는 특별히 인상 깊은 부분이 없는 듯 PC 네이버를 잘 안 써서 그런가
3. 충성 고객 분석이 왜 중요할까
https://brunch.co.kr/@lunarshore/504?utm_source=oneoneone
충성 고객 분석이 왜 중요할까
충성 고객과 유사한 고객을 찾기 위해 | 정치에는 각 정당마다 기반이 되는 지지 계층이 있습니다. '콘크리트 지지자'라고 불리는 특정 계층은 정치 이슈에 크게 요동치지 않고 같은 정당을 지지
brunch.co.kr
- 단순히 프로파일링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핵심을 확장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 충성 고객이 누구인지 알고 이 고객과 유사한 고객을 찾아 충성 고객으로 만들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함
- 충성 고객의 특성이 사후적인 결과(ex. 주문금액, 주문횟수 등)이 되면 안 된다.
- 사전적인 변수/고객 개인의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찾을 것
4. 👶 아이에이(IA)가 뭐하는 아이에이유?
https://capturephrase.stibee.com/p/27/?utm_source=oneoneone
👶 아이에이(IA)가 뭐하는 아이에이유?
26호가 도착했어요! (읽는 데 8분) 🪜 IA와 UX 라이팅의 상관관계 / 🥊 영문라이팅 원투펀치
capturephrase.stibee.com
- IA (정보구조, Information Architecture)
- 사용자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조직화하고 구조화하는 방법
- 레이아웃 디자인 뿐 아니라 어떻게 정보를 제공할지에 관한 것
구체적인 예시가 없어서 내용이 엄청 와닿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회사에서 기획 시에 이런 딱딱한 용어들을 잘 사용하지 않아서..
공부 겸 한 번 살펴봄
5. 인공지능 시대, HRD의 미래는?
https://thepllab.com/post/516?utm_id=oneoneone&utm_source=oneoneone
인공지능 시대, HRD의 미래는? - Growth | 더플랩 인사이트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Generative AI 기술로 인해 앞으로 HR 분야는 상당 부분 변화할 것입니다. 조직 구성원들은 개인형 맞춤 정보를 제공받고 HR은 고도화된 인사 분석 기술을 활용하게
thepllab.com
- HRD = Human Resource Development = 구성원 개인의 성장과 조직의 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한 모든 활동
- HRD의 미래 역할
- 개인개발 관점 : 다수를 대상으로 한 교육 → 개별화된 요구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학습
- 경력개발 관점 : 평생 학습
- 반복을 통한 숙련이 필요한 업무는 인공지능으로 대체
-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던 이들의 경력 전환을 돕기 위한 Reskilling & Upskilling
- 조직개발 관점 : 변화관리, 조직문화
- 인공지능이 구성원의 일자리를 대체, 조직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해나가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혼란 최소화/ 새로운 환경에서도 일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게 해야 함
흠 신기한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