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laimer
이건 제가 면접 준비를 하는 방식일 뿐 모든 개인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제가 글에서 언급하는 모든 PM은 Product Manager입니다. (Project Manager가 아님 주의)
저는 Junior 연차로 경력이직을 준비했습니다.
드디어 PM 면접의 꽃~ 꼬리질문!
개인적으로 꼬리질문이 대화하는 느낌이 나고 면접관이 어떤 정보에 귀를 기울이는지 알 수 있어서 선호하는 편입니다.
압박처럼 느껴질 수는 있지만 그래도 몇 번 면접을 보다보면 어떤 정보를 중점적으로 물어보는지 알 수 있어요.
크게 아래와 같은 세 범주로 구성이 되는 듯 합니다. (물론 하나가 매우 방대하지만...)
1. 내 프로젝트
2. 우리 서비스
3. 남의 서비스
이런 맥락의 질문에 답변을 하면서 지원자의 문제 해결 능력이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 등이 드러나게 되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합불합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내 프로젝트
1.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1-1. 가장 소개하고 싶은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1-2. 최근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1-3. 프로젝트 하나 더 말해주세요 등등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는 문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나의 경우에는 '어떤 목표를 가지고 어떤 산출물을 낸 프로젝트'라고 간단하게 요약한 뒤에 그 과정에 대하여 말합니다. (그리고 이건 자기소개 시에 프로젝트 간단하게 소개할 때도 써먹을 수 있어요)
그 이후에, 문제 정의(why) - 목표 설정(what) - 산출물(how) - 그 결과(result) 의 과정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말합니다.
여기서 지원자가 얼마나 이 과정에 대해 잘 알고 있느냐 / 참여하였는가를 확인하는 질문이 쏟아지게 됩니다.
2. 이건 왜 하게 되었나요? (문제정의 관련 질문)
2-1. 이 프로젝트는 어떻게 시작하게 된 건가요?
2-2. 이 아이템은 직접 제안하신 건가요? (bottom-up인지 top-down인지 / 제품외부 부서 요청인지 등)
2-3. 다른 아이템 중에서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
2-4.이 문제는 어떤 식으로 확인되었나요? (user voice인지 / data인지 / 주관적인 가설인지 등)
2-5. 이 문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이유가 있나요?
왜 이 아이템이 중요하고 진행해야 하는지 / 어떤식으로 구성원을 설득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지~ 다 유사한 맥락의 이야기네요.
3. 이런 문제가 있었을 것 같은데...(프로젝트 진행 중 예상되는 케이스에 대한 질문)
면접관이 실무자인 경우에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질문할 때도 종종 있습니다. 어떤 문제에 부딪혔었는지+어떻게 해결했는지 기억하고 가면 좋은 것 같아요. 그 문제점이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왜 해당되지 않는지를 답변하면 됩니다.
4. 이 부분에 대해서 왜 이렇게 진행된건가요? (산출물에 대한 딥다이브)
4-1. 산출물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 제가 ~~라고 이해했는데 맞나요?
처음 답변 시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보니 다음 질문을 위한 정확한 정보 확인용 질문입니다.
혹은 지원자가 정확하게 말하지 않았을 경우...
5. 어떤 지표를 보셨나요? (지표 설정 및 데이터 관련 질문)
5-1. 왜 이 지표를 선택하셨나요?
5-2. 왜 이 지표가 증가/감소했다고 생각하시나요?
5-3. 이 프로젝트 외에 이 지표에 끼치는 다른 영향은 없나요?
5-3-1. 다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하실 때 어떻게 고려하셨나요?
5-3-2. 다른 영향을 배제하지 않았다면 이 지표의 증감분이 이 프로젝트로 인한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나요?
5-3-3. 이 지표가 이만큼 성장한게 오직 프로젝트의 영향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당연히 성장하게 되는 지표인 경우)
5-4. 이 지표의 목표치를 이만큼으로 설정하신 이유가 있을까요? / 어떤 기준으로 목표치를 이렇게 설정하셨나요?
KPI를 결정하고+그에 대한 근거를 말하는 건 어떤 면접에서나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 같아요.
5-3-1의 경우 데이터 분석 시 정확히 프로젝트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어떤 것을 고려했는가 (A/B테스트의 진행 조건이라든지/ 전후비교테스트라면 가장 유사한 환경을 두고 분석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하였는지 - 직접 쿼리를 짜거나 분석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결과만 받아보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가정과 전제로 결과를 도출했는지는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5-3-2의 경우, 다른 영향이라는 것은 프로젝트 외적 영향, 마케팅/프로모션의 영역 혹은 동시에 진행하는 다른 프로젝트의 영향을 배제했는가
5-3-3의 경우, 성장하는 프로덕트라면 당연히 함께 성장하는 지표들이 있습니다. 이런 지표를 KPI로 삼았을 경우 그 영향과 프로젝트의 영향을 분리해서 볼 수 있는가? 당연히 성장하는 지표를 내 프로젝트의 온전한 성과로만 생각하면 잘못된 분석이겠죠.
6. 프로젝트 진행 중 어려웠던 점은 없었나요? / 프로젝트 진행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어떤 부분인가요?
6-1. 프로젝트 진행 중 로직 설계나 이런 부분에서 특별히 어려웠던 점은 없었나요?
6-2. 프로젝트 진행 중 팀원과 커뮤니케이션적으로 힘들었던 부분이 있을까요?
7. 프로젝트 진행 사후 관리에 대한 질문
7-1. 프로젝트 결과에 대해서 만족하셨나요?
7-2. 추후 프로젝트를 보완하기 위하여 더 진행한 부분이 있나요?
7-3. 프로젝트의 특정한 데이터를 보고 개선한 경험이 있나요?
프로젝트가 끝나고 나서도 개선 루프를 돌리는지? 어떤 걸 어떤 식으로 개선하고자 하는지 확인하는 질문 같습니다.
8. 이런 경험/프로젝트 있었나요? 시리즈
8-1. 가장 어려웠던/힘들었던 프로젝트 있었나요?
8-2. 가장 몰입했던 경험/프로젝트를 알려주세요
8-3. 본인의 인생에서 가장 임팩트 있던 경험/프로젝트를 말해주세요.
8-4. 실패했던 경험/프로젝트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8-4-1. 왜 실패했다고 생각하시나요?
8-4-2. 그 프로젝트를 다시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할 것 같으신가요?
8-4-3. 지금 추가로 프로젝트를 보완할 수 있다면 무엇을 할 것 같으신가요?
왜 이걸 프로젝트 영역에 넣냐면... 저는 경력이직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경험을 말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갑자기 어...대학생 때 ...를 한다면?...흠
다 많이 물어보는 부분입니다. 특히 실패!
그리고 지원자가 어떤 것을 몰입/실패로 정의하느냐 라는 가치관이 드러나기 때문에 잘 답변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회사의 컬쳐핏과 맞는지가 어느정도 검증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우리 서비스
1. 우리 서비스 써보셨나요?
면접보러 가면 당연히 써보고 가야합니다!
커머스 서비스라면 결제까지는 안 해도 탐색까지는 해야합니다. 안 해본 걸 해봤다고 거짓말 할 필요는 없지만 최대한 여러 기능을 경험해보고는 가야 해요.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드러납니다.
2. 우리 서비스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2-1. 우리 서비스 쓰면서 불편한 점이 있었나요? / 우리 서비스에서 고치고 싶은 점이 무엇인가요?
2-2. 우리 서비스 ~~할 때 불편한 점이 있었나요? (특정 상황에서)
2-3. 그러면 그 부분(불편한 부분)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요? (해결방안 제안)
2-4. 그러면 그 프로젝트를 진행하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 어떻게 진행하실 건가요?
2-5. 그 프로젝트의 목표 설정을 한다면 어떤 지표를 잡을 건가요?
2-5-1. 왜 그 지표를 잡으셨나요?
2-5-2. 또 다른 지표나 데이터 분석은 어떤 것을 해야할까요?
이런 서비스에 대한 해결방안 제안하는 부분이 지원자 아이디어 뽑아먹기라고 하는 의견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저는 그렇게 생각하진 않아요. 면접관이 잘 아는 상황에서 지원자의 문제해결능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원자와 면접관 간의 정보의 격차가 심하기도 하고, 일단 지원자가 제안한 문제가 정말 해결해야 하는 건이었다면 (1) 내부에서 나왔던 아이디어 혹은 (2) 그렇게 실행할 수 없는 아이디어 일 것이라고 봅니다. 물론 엄청나게 창의력이 톡톡 튀는 예외케이스는 있을 수 있지만... 저는 PM/PO가 대단히 창의적인 일을 하는 직무는 아니라고 보아요. (마케팅/PR 직무에서는 실제로 현업에서 아이디어 빼먹는 경우가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 대단히 비양심적이지만요)
3. 우리 서비스의 이런 이런 기능 중에 어떤 부분이 지표가 가장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3-1. 왜 그 지표가 가장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3-2. 지표가 좋지 않을 것 같은 부분은 무엇인가요?
3-3. 왜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3-4. (그게 맞다면) 그렇게 기획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또 지표를 어떤 식으로 잡는지, 어떻게 해석하는지 확인하는 질문 같아요. 이것도 딱히 정답이 없고, 실제 내부 사정을 모르기 때문에 생각의 전개가 논리적인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남의 서비스
1. 요즘 가장 잘 쓰고 있는 서비스가 무엇인가요?
1-1. 좋아하는 서비스를 소개해주세요 / 추천하고 싶은 서비스를 소개해주세요/(PM/PO/서비스기획자로서) 추천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1-2. 왜/어떤 점에서 그 서비스를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1-3. 그 서비스에서 가장 강점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1-4. 그 서비스에서 보완점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1-5. 그 보완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1-6. 그 서비스의 경쟁사는 무엇인가요? 그 서비스의 경쟁사보다 우월한 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1-7. (계속~~~)
2. (특정영역)을 잘하는 서비스 예시가 무엇이 있다고 생각하나요?
2-1. 왜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우리 서비스와 유사하게 진행됩니다. 다른 점이라면, 면접관도 해당 서비스에 대한 내부 정보를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겠죠.
관심있는 서비스가 꼭 지원하는 회사의 서비스와 관련있거나, 지원하는 회사의 계열사 서비스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내가 왜 이 서비스를 추천하고 잘 사용하는지는 근거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또한, 단순히 모든 사람들이 잘 쓰는 서비스(유튜브/인스타그램/카카오톡 등)보다는 PM/PO/서비스기획자로서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씀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질문을 이어나가기에+어느정도 트렌드를 알고 있느냐를 어필할 수 있으니까요)
면접관도 해당 서비스를 잘 모를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개선점 빌드업 질문이 길게 이루어지는 것 같지는 않아요.
꼬리질문이다보니 굉장히 구체적인 질문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점이 아쉽네요. 하지만... 이건 모든 사람에게 달라지는 질문인걸요. 당연히 이 질문에 포함되지 않은, 개인의 경험에 세세하게 맞춰진 꼬리질문이 훨씬 더 많을 거예요. 어떤 식으로 질문이 전개되는지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질문에 대한 의도는... 제 짐작입니다. 저는 면접관이 아니니까요~
이런 식의 면접 질문에는 정답이 없기 때문에 (설령 정답이 있어보이는 질문일지라도 근거만 충분하다면 답이 달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 나의 생각을 일관성 있게 잘 정리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제가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 라는 질문을 계속 분리해서 넣었는데요, 그만큼 '왜'를 답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top-down으로 내려온 일일지라도 세부적인 방법이나 진행방향의 경우에는 내가 결정한 근거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비록 아무생각 없이 했던 일일지라도^^..) 그걸 찾아내서 내가 왜 이걸 했는지 알아내는 과정이 중요한 것 같아요.
첫 취업 때든 이번 이직 때든... 면접을 준비하는 일은 나를 좀 더 알아가는 과정인 것 같아요. 신입 때는 정말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았다면, 이번 이직 때는 내가 어떤 부분에 가치를 두고 일하는 사람인지를 배웠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이직 때는 지원한 기업 중 가장 가고싶던 곳에 가게되어 정말 기쁘네요.
이렇게 면접 준비 시리즈는 마무리입니다. 예전 제가 첫 취준하던 시기보다는 서비스기획자/PM/PO에 대한 정보가 인터넷에 많이 풀린 것 같지만, 여전히 정보가 많지는 않은 것 같아요.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 글 쓰는데 기빨려서 작성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렸다는 것은 안 비밀... 힘들어서 퇴고 안 합니다 이상한 거 지적부탁드려요 ㅎㅎㅎㅎㅎ 뭔가 빠뜨린 질문이 있을 것 같은데 추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_! 취준/이직 파이팅)
이전글
'PM 혹은 서비스기획자로 살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챗봇 개념 공부 (2) : 시나리오, 블록, 파라미터 설정 (1) | 2022.08.16 |
---|---|
카카오 챗봇 개념 공부 : (1) 엔티티 정의와 등록 방법 (feat. 사이드프로젝트 롤 챗봇) (1) | 2022.08.16 |
첫번째 회사 + 두번째 회사 회고 (feat.신입PM) (1) | 2022.08.14 |
PM/PO/서비스기획자 면접준비 : (2) 면접질문 리스트 (2) | 2022.07.27 |
PM/PO/서비스기획자 면접준비 : (1) 면접 전의 과정 요약 (1)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