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어제도 나는 킹받았다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좋은 글 아카이브

2023-05-07 : 스타트업 구조조정 (씨리얼) / ChatGPT UX 프롬프트 예시 모음 / 비리얼(BeReal) 업데이트 내용 및 수익모델 조사

Disclaimer 좋은 글 아카이브는 트렌드 파악 / 업무와 관련된 공부를 위하여 다양한 매체로부터 얻은 정보를 출처 링크와 함께 가볍게 정리하는 글입니다. 저자의 생각과 저의 생각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며, 저에게 필요한 내용만 체리피킹합니다. 요약 혹은 의견을 선택적으로 덧붙입니다. 보는 이의 가독성을 고려하는 글은 아닙니다. 1. 스타트업 구조조정 (씨리얼 Youtube) https://youtu.be/JGwwKcEapYM 코로나 버블이 꺼지면서 스타트업 구조조정이 줄줄이 이어졌는데, 구조조정 대상이 된 당사자들의 목소리 + 시장을 바라보는 IT 전문 기자들 + 노무사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매우 알찬 구조! 영상 추천) 요즘 들리는 VC 투자 관련 이야기에서 들리는 맥락과 동일하다 : 이제는 ..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좋은 글 아카이브

2023-05-06 : 퀸잇 흑자 / 데이터 대중화 / 듀오링고의 시행착오 등

Disclaimer 좋은 글 아카이브는 트렌드 파악 / 업무와 관련된 공부를 위하여 다양한 매체로부터 얻은 정보를 출처 링크와 함께 가볍게 정리하는 글입니다. 저자의 생각과 저의 생각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며, 저에게 필요한 내용만 체리피킹합니다. 요약 혹은 의견을 선택적으로 덧붙입니다. 보는 이의 가독성을 고려하는 글은 아닙니다. 1. 퀸잇 흑자의 지속 가능성 https://brunch.co.kr/@trendlite/349 퀸잇 흑자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빠른 성장 속도, 2위와의 충분한 격차, 건실한 BM 덕분에 긍정적입니다 | 아래 글은 2023년 05월 03일에 발행된 뉴스레터에 실린 글입니다. 전체 뉴스레터를 보시려면 옆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 brunch.co.kr https:..

블로그

2022-07 ~ 2023-04 블로그 회고 / 구글애드센스 수익 / 중간점검

사실 회고라고 하기엔 거창하지만 그냥 지금까지의 블로그 운영 현황을 한 번 짚어보려고 한다. 난 딱히 수익 목적의 블로그는 아니지만 모든 서비스는 지속가능하려면 그에 대한 보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주의이다. 나름 양?질의 글을 게시하고자 애쓰고 그런 컨텐츠를 제공하는 공급자로서의 보상은 미미할지라도 존재해야 한다고 본다. 때문에 티스토리를 선택했고 애드센스를 통해 광고 수익을 얻는 중이다. (매우 소소한^_^!) 정보성 블로그를 지향하고 있고, 글도 내킬 때만 쓰니 별로 쓰지 않지만 그렇게 글만 써도 치킨값은 벌 수 있다 만세 운영 현황 대상 기간 : 2022-07-09 ~ 2023-04-30 글 개수 : 28개 (한 달에 3.xx개 꼴..) 2022-07 : 6개 2022-08 : 11개 2022..

블로그

일상글은 네이버 블로그로 이전

커리어 쪽 글과 일상 글을 같이 쓰는 게 좀 부담스러워서 네이버 블로그는 직장 자아 지운 채로 뻘글 블로그를 개설했습니다 여기선 일 얘기만 해야지~ 티스토리에서는 조회수 60 찍기까지 되게 오래걸렸는데 네이버 블로그는 티스토리 일상글 이전만 했는데도 오픈 이틀만에 조회수 60을 찍었다. 네이버에서 누가 검색해? 싶은데 이건 사실 업무상의 이야기이고 적어도 한국에서 생활한다면 삶의 곳곳에 네이버가 묻어있기 때문에 트래픽 자체가 다른 것 같다. 편집기는 사용성은 또이또이.. 네이버 블로그도 오래된 서비스이기 때문에 곳곳에 레거시가 묻어있는 게 느껴지긴 했다. 어쨌든 네이버 블로그는 조회수 생각 안 하고 그냥 쓸 거였는데 꽤나 나오는 게 신기~ 애드포스트를 다른 아이디로 가입해둬서 탈퇴하고 30일 후에 가입할..

PM 혹은 서비스기획자로 살아보자

Mac에서 내 iPhone 혹은 iPad의 화면을 실시간공유/녹화하는 꿀팁 (무료!)

제목 굉장히 애플 고객센터 FAQ 같다 동시에 네이버 블로그 같다 그래서 네이버 블로그 컨셉으로 써보겠음 전제 안녕하세요? 오늘은 내 맥북에서 아이폰/아이패드의 화면을 공유하는 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Android 기기도 가능한지 확인해보았지만 🥲 아쉽게도 iCloud에 묶여있는 기기까지만 지원되는 기능인 것 같아요~ 또한 랩탑이 Windows인 상황 역시 집에 윈도우가 없어서 확인하기 어렵네요 ㅠ.ㅠ Windows와 Android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것으로! iPhone과 iPad도 MacBook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케이블 준비는 필수~! 왜 이런 걸 쓰나요? 왜 이런 기능이 필요했냐~ 다양한 활용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 (1) 신규입사자의 온보딩 용으로 자사 APP을 설..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간단한 용어사전

[비즈니스] 백로그 처리 기준 DEEP (What is DEEP in Product Backlog?)

Disclaimer 간단한 용어사전은 업무 중 혹은 기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정확히 알아두기 위해 간단하게 기록하는 용도입니다. 굉장히 정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할 의도는 아님을 밝힙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지적 환영합니다 :) "좋은 백로그는 DEEP 을 만족한다"라는 말을 듣고 개념을 정리해본다. D (Detailed Appropriately) : 적절하게 상세한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은 우선순위가 낮은 아이템보다 먼저 진행될 것이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높은 아이템들이 나머지에 비해 더 상세하게 분석되어야 한다. 백로그 맨 위에 있는 스토리는 작고 세분화 되어있다. 백로그 하위에 있을 수록 아이템의 크기가 커지고 디테일이 떨어짐 E (Estimated) : 추정된 제품 백로..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간단한 용어사전

[비즈니스] 허상지표, 실질지표 - 린분석

Disclaimer 간단한 용어사전은 업무 중 혹은 기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정확히 알아두기 위해 간단하게 기록하는 용도입니다. 굉장히 정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할 의도는 아님을 밝힙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지적 환영합니다 :) 린분석(Lean Analytics) 을 읽으면서 용어정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역시 클래식은 클래식..! 유용한 책이다. 어떤 지표를 볼 때마다 스스로에게 "이 정보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물어보라.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그 지표는 그다지 신경 쓸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허상지표 (Vanity Metrics) : 실행에 옮길 수 없는 데이터 (보통 시간이 흐르면 우상향한다) (예시) 전체 활동사용자 : 여러분이 일을 끔찍하게 그르치지만..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데이터 공부를 해보자

[비개발자SQL] SQLD 자격증 합격 후기 (비추천합니다 / ChatGPT 활용)

Disclaimer 이 글은 취업준비생 및 개발자지망생을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그들의 필요성은 제가 판단할 수 없음) 제가 이 자격증을 비추천하는 대상은 실무에서 SQL을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을 희망하는 비기술직군입니다. 서론 시험의 기본 정보에 대한 유용한 글이 많으니 생략하고자 한다. 왜 개발할 생각도 없는 직장인이 이 자격증을 땄는가? 에 대해서 간단하게 말하면 그냥... 회사에서 요즘 번아웃을 느끼고 있었고, 업무에서 성취감이나 자기효능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인생은 답이 없고 회사도 끝이 없는데 답도 있고 끝도 있는 시험 준비나 하면서 문제집에 똥그라미라도 치면 좀 정신건강에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시작했다. (당시 판단력도 좀 흐려진 것 같다) 비추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

일하면서 필요한 공부를 해보자/간단한 용어사전

[비즈니스] North Star Metric (NSM, 북극성 지표)는 왜 중요할까? / 사례 / 유의사항

Disclaimer 간단한 용어사전은 업무 중 혹은 기사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정확히 알아두기 위해 간단하게 기록하는 용도입니다. 굉장히 정확하고 자세하게 서술할 의도는 아님을 밝힙니다. 혹시 잘못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지적 환영합니다 :)| 이번 버전도 안 간단함 주의 북극성 지표란? 팀의 목표와 방향, 그리고 성공을 가늠하는 주요 척도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얻게 되는 핵심 가치"를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하며 제품을 개발하는 프레임 워크 → 북극성 지표 : 해결하고자 하는 고객의 문제와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성과 사이의 관계를 담고 있는 단 하나의 비율 → 인풋 지표 : 북극성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상호 보완적인 요소들의 집합 제품조직에서 왜 북극성 지표를 세팅하는가? 고객 ..

PM 혹은 서비스기획자로 살아보자

[ChatGPT] 노코드 툴로 AI 서비스 만들기! : 릴리즈 노트 생성기(feat.GetGPT)

긴 서론 요즘 챗 GPT가 장안의 뜨거운 감자인데 사실 기획자 입장에서 챗GPT를 통해 업무를 효율화할 포인트가 별로 없었다. (물론 회사마다 업무 범위의 차이가 커서... 누군가는 반복 업무를 훌륭하게 효율화하는 케이스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난 뭘 좀 해보려고 하면 대외비의 벽도 꽤나 있고, 정보성 검색을 하고자 하면 이 친구는 생성기이다보니 정보의 신뢰도를 믿기도 좀 문제가 있고... 아이디어나 카피 같은 창의적인 무언가를 필요로 하지도 않았다. 한 번 애써서 활용해본 건 데이터 분석 쿼리 짜기인데, 서비스 정보나 필요한 칼럼의 구체적인 정보를 적당히 가리고 물어서 쿼리를 요청한 적은 몇 번 있다. 다만 GPT 3.5 버전에서는 그리 훌륭하게 짜주지는 못했고... 결국 내가 다시 첨삭해줘야 했다...

유니 Uni
Yesterday, I was so kingged